논리회로 8

플립플롭과 래치의 차이와 SR 래치(NOR/NAND) 동작 정리

플립플롭과 래치플립플롭(flip-flop)과 래치(latch)는 2개의 안정된(bi-stable) 상태 중 하나를 가지는 1비트 기억 소자이다.플립플롭과 래치도 게이트로 구성되지만 조합논리회로와 달리 궤환(feed back)이 있다. NOR 게이트로 구성된 SR 래치SRQ(t+1)00Q(t)01010111금지 S=0, R=0 일 때: Q(t+1) = Q(t), 출력의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S=0, R=1 일때: S가 Q로 출력된다.S=1, R=0 일 때: S가 Q로 출력된다.S=1, R=1 일 때: Q와 'Q가 반전되지 않으므로 입력이 금지된다. NAND 게이트로 구성된 SR 래치SRQ(t+1)00금지01110011Q(t) S=0, R=0 일 때: Q와 'Q가 반전되지 않으므로 입력이 금지된다.S=0,..

논리회로 2025.05.11

그레이 코드 변환 & 패리티 발생기·검출기 완전 정리

2진 코드 - 그레이 코드 변환2진 코드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더보기B₃B₂B₁B₀ → G₃G₂G₁G₀G₃ = B₃G₂ = B₃ ⊕ B₂G₁ = B₂ ⊕ B₁G₀ = B₁ ⊕ B₀ 그레이 코드 - 2진 코드 변환그레이 코드를 2진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더보기G₃G₂G₁G₀ → B₃B₂B₁B₀ B₃ = G₃B₂ = B₃ ⊕ G₂B₁ = B₂ ⊕ G₁B₀ = B₁ ⊕ G₀ 패리티 발생기/검출기패리티 발생기는 송신기에서 정보에 포함된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만들기 위해 추가 비트를 발생시키는 조합회로이다.패리티 검출기는 수신기에서 정보에 포함된 1의 개수가 홀수 또는 짝수일 경우 1을 출력하는 조합회로이다. 8비트 짝수 패리티 발생 회로는 다음과 같다. 8비트 홀수..

논리회로 2025.05.11

멀티플렉서 완전 정리: 2×1부터 16×1 구성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멀티플렉서(multiplexer or selector)멀티플렉서는 2n개의 입력 선 중에서 하나를 출력 선에 연결하는 조합논리회로이다.선택입력에 따라서 여러개의 입력 중 하나를 출력선에 넘겨주기 때문에 데이터선택기라 부르기도 한다.멀티플렉서의 역버전인 디멀티플렉서도 있다. 디멀티플렉서는 역-선택기, 데이터 분배기라고도 하며 n개의 선택선의 값에 의해 하나의 출력선이 선택된다. 2×1 멀티플렉서2개의 입력 중 선택입력에 따라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한다.선택 입력출력SF0D01D1 F = S'D0 + SD1 4×1 멀티플렉서선택입력에 따라서 4개의 입력 중에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한다.선택 입력출력S1S0F00D001D110D211D3 F = S̅₁S̅₀D₀ + S̅₁S₀D₁ + S₁S̅₀D₂ + S₁S₀D..

논리회로 2025.05.11

인코더(Encoder) 정리: 2×1, 4×2 구조와 논리식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인코더(encoder)인코더는 디코더와 반대 기능을 한다. 2n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n비트의 2진코드로 바꿔주는 조합회로이다.2n개중 하나의 1비트 입력을 받아서 해당하는 2진 코드를 출력한다. 2×1 인코더2개의 입력 정보에 따라 1비트 2진 코드가 산출된다.입력출력D1D0B0010101 B0 = D14×2 인코더4(=22)개의 입력 정보에 따라 2비트 2진코드가 출력된다.입력출력D3D2D1D0B1B0000100001001010010100011B1 = D2 + D3B0 = D1 + D3

논리회로 2025.05.11

디코더와 디멀티플렉서 : 1×2, 2×4 구조와 논리식까지

디코더는 n비트의 2진 코드를 2n개의 서로 다른 정보로 바꿔주는 조합회로이다. 인에이블(enable)단자(함수 또는 회로를 허락하거나 동작하게 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디멀티플렉서는 여러 출력 중 하나에 입력을 연결해 주는 조합회로이다. 1×2 디코더입력은 1개, 출력은 21개, 2진코드를 하나의 출력에 연결해준다.입력출력AY1Y0001110 Y0 = A'Y1 = A 인에이블이 있는 1×2 디코더입력출력EAY1Y00000010010011110인에이블(E)가 0일 때는 무엇도 출력하지 못하고, 1일 때에만 매칭된 출력을 출력함.Y0 = EA'Y1 = EA그냥 1×2 디코더의 논리식과 비교해서 E가 논리곱으로 곱해져 있음. E가 1이여야만 출력됨을 뜻한다. ..

논리회로 2025.05.11

비교기(Comparator) 완전 정리: 1비트부터 4비트까지 크기 비교 회로 이해하기

1비트 비교기2진 비교기(comparator)는 두 2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입력출력ABA=BF1A≠BF2A>BF3AF4001000010101100110111000F1 = (A ⊕ B)'F2 = A ⊕ BF3 = AB'F4 = A'B 2비트 비교기는 두 2비트 2진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회로이다.4비트 비교기는 아래에서 크기 정보를 입력받아 위로 크기 정보를 출력한다. 4비트 비교기를 통해서 4n비트 비교기를 설계할 수 있다.

논리회로 2025.05.11

반가산기부터 고속 가산기까지: 디지털 가산기 완전 정

반가산기(half-adder, HA)반가산기란 한 자리 2진수 2개를 입력하여 합 S(Sum)과 캐리 C(Carry, 자리올림)를 계산하는 덧셈 회로이다.출력 캐리(Cout)는 있지만 입력 캐리(Cin)는 없다. 예시로는 다음과 같다. A 0 0 1 1+ B + 0 + 1 + 0 + 1--- --- --- --- ---C S 0 0 0 1 0 1 1 0 위의 상황을 진리표로 표현하면 이렇다.입력출력ABSC0000011010101101 이를 통해 논리식을 작성하면S = A'B + AB' = A ⊕ BC = AB가 된다. 이를 통하여 논리회로를 작성해 보자.논리 기호로는 이렇게 사용한다. 전가산기(full-..

논리회로 2025.05.11

논리회로 기초 이론 정리 (진리표, 논리식, 설계 과정)

논리회로의 종류논리회로의 종류로는 조합논리회로(Combinational LC), 순서논리회로(Sequential LC)가 있다. 순서논리회로는 조합논리회로에 기억소자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조합논리회로에는 기본적으로 전파지연만이 존재하고, 순서논리회로에는 이에 더해 클럭 지연이 발생한다. 조합논리회로조합논리회로는 논리곱(AND), 논리합(OR), 논리 부정(NOT)의 세 가지 기본 논리회로를 조합하여 구성한 논리회로이다. 조합논리회로는 입력 신호, 논리 게이트, 출력 신호로 구성된다. 가능한 모든 이진 조합의 입력(n개의 입력 선에 대해 2n가지)에 대해서 논리회로 내에서 연산이 이루어져서 다양한 이진 조합의 출력(m개의 출력선에 대해 2m 가지)을 산출한다. 조합논리회로 설계 과정입력 비트의 조합을 ..

논리회로 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