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도와 최대가능도추정법(MLE)가능도(Likelihood)란 모수(parameter)가 주어졌을 때, 어떤 표본이 나올 가능성을 의미한다. 즉, ‘그럴듯한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예를 들어 동전을 두 번 던졌다고 하자. 결과가 앞-뒤(H-T)라면, 가능한 모수는 ‘앞면이 나올 확률 θ’다. 만약 θ = 1/2라면, 가능도는L(θ) = 1/2 × 1/2 = 1/4이다. 반대로 θ = 1/3이라면, 가능도는L(θ) = 1/3 × 2/3 = 2/9가 된다. 가능도 함수와 로그 가능도가능도 함수는 모수 θ를 입력하면 해당 가능도를 반환하는 함수로, L(θ)로 나타낸다. 위의 예에서L(θ) = θ × (1 – θ)와 같다.로그 가능도(log-likelihood)는 가능도에 로그를 취한 값이다. 로그를 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