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코더는 n비트의 2진 코드를 2n개의 서로 다른 정보로 바꿔주는 조합회로이다. 인에이블(enable)단자(함수 또는 회로를 허락하거나 동작하게 하는 단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디멀티플렉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디멀티플렉서는 여러 출력 중 하나에 입력을 연결해 주는 조합회로이다.
1×2 디코더
입력은 1개, 출력은 21개, 2진코드를 하나의 출력에 연결해준다.
입력 | 출력 | |
A | Y1 | Y0 |
0 | 0 | 1 |
1 | 1 | 0 |
Y0 = A'
Y1 = A
인에이블이 있는 1×2 디코더
입력 | 출력 | ||
E | A | Y1 | Y0 |
0 | 0 | 0 | 0 |
0 | 1 | 0 | 0 |
1 | 0 | 0 | 1 |
1 | 1 | 1 | 0 |
인에이블(E)가 0일 때는 무엇도 출력하지 못하고, 1일 때에만 매칭된 출력을 출력함.
Y0 = EA'
Y1 = EA
그냥 1×2 디코더의 논리식과 비교해서 E가 논리곱으로 곱해져 있음. E가 1이여야만 출력됨을 뜻한다.
2 × 4 디코더
입력이 2개고 22개의 출력 중에 하나에만 1이 출력된다.
입력 | 출력 | ||||
B | A | Y3 | Y2 | Y1 | Y0 |
0 | 0 | 0 | 0 | 0 | 1 |
0 | 1 | 0 | 0 | 1 | 0 |
1 | 0 | 0 | 1 | 0 | 0 |
1 | 1 | 1 | 0 | 0 | 0 |
Y0 = B'A'
Y1 = B'A
Y2 = BA'
Y3 = BA
2 × 4 디멀티플렉서
2 × 4 디멀티플렉서는 2 × 4디코더에 인에이블이 추가된 형태로 인에이블이 1일 때만 출력된다.
입력 | 출력 | |||||
E | B | A | Y3 | Y2 | Y1 | Y0 |
0 | x | x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1 |
1 | 0 | 1 | 0 | 0 | 1 | 0 |
1 | 1 | 0 | 0 | 1 | 0 | 0 |
1 | 1 | 1 | 1 | 0 | 0 | 0 |
Y0 =EB'A'
Y1 =EB'A
Y2 =EBA'
Y3 =EBA
'논리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플렉서 완전 정리: 2×1부터 16×1 구성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0) | 2025.05.11 |
---|---|
인코더(Encoder) 정리: 2×1, 4×2 구조와 논리식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0) | 2025.05.11 |
비교기(Comparator) 완전 정리: 1비트부터 4비트까지 크기 비교 회로 이해하기 (0) | 2025.05.11 |
반가산기부터 고속 가산기까지: 디지털 가산기 완전 정 (0) | 2025.05.11 |
논리회로 기초 이론 정리 (진리표, 논리식, 설계 과정) (0) | 2025.05.09 |